반응형

미국주식 배당 ETF 중에서 가장 핫한 ETF는 찰스 슈왑의 SCHD일 것입니다.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슈드" 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인기의 주요 요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미국에 상장된 배당ETF 중에서는 배당에만 치중하고 주가 수익률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SCHD의 경우 벤치마크(S&P500) 대비 높은 시가배당률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주가 성장 퍼포먼스는 조금 낮더라도 배당금 재투자를 통한 토탈리턴이라는 측면에서 S&P500과 비등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주가 수익률이 좋은 배당 ETF 중에서도 SCHD가 높은 퍼포먼스를 내고 시가배당률도 높은 것, 배당금의 성장이 돋보인다는 점이 인기 요인으로 꼽힙니다. 

SCHD는 보관금액 기준 50위 이내에 포함되는 인기 주식(ETF)이다.

 

S&P500, 나스닥100 ETF는 국내 버전이 많아서 수수료 인하 경쟁으로 인해 저렴한 수수료해진 반면에 SCHD의 국내 버전은 한국투자의 ACE 미국고배당S&P 뿐이었습니다. 하지만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이전에 유일했던 SCHD 국내 버전 ETF 였기 때문에 수수료가 높을 뿐더러 국내 개인투자자들 사이에서 연금계좌에 담아 투자하는 것보다 직투가 낫다는 여론이 생겨 거래량도 낮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신한자산운용의 SOL 미국배당다우존스는 연금계좌를 통해 SCHD 국내 버전 ETF 투자를 노리는 수요층과 기존 한투의 ACE 미국고배당S&P의 단점들을 개선하고 출시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를 추종하는 SOL 미국배당다우존스(433330)를 알아보겠습니다.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특징, 장단점 알아보기

1. 수수료 (vs SCHD)

서로 다른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비교하는 경우 수수료의 비교가 무의미한 경우가 많습니다. 수수료로 더 많은 비용을 내더라도 더 알찬 기업들을 구성 종목으로 모아서 좋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QQQ가 SPY(VOO,IVV)보다 높은 수수료를 요구하지만 그럼에도 QQQ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많은 이유는 결국 많은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수익률이 좋을 것을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SCHD와 SOL미국배당다우존스는 동일한 인덱스를 추종하기 때문에 수수료는 수수료는 매우 중요한 비교 잣대로 사용됩니다. 

 

SOL 미국배당다우존스는 기타비용과 증권거래비용을 뺀 총보수비용은 0.15%입니다. SCHD의 총 보수가 0.06%인 것을 고려할 때 비용 측면에서 SOL 미국배당다우존스가 안좋습니다. 게다가 수수료의 함정인 총보수 외 기타비용과 증권거래비용까지 더해진다면 투자자가 지불하는 비용은 더 증가하게 됩니다. 신한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보다 먼저 출시된 미국S&P500의 경우 총 보수는 0.05%이지만 기타비용과 매매 중개 수수료율을 합친 비용이 .331%에 달합니다.

 

SOL 미국배당다우존스는 이 기타비용과 매매 중개수수료율을 제외한 비용만으로 비교해도 0.15%입니다. 찰스슈왑의 SCHD가 Expensive Ratio 0.06%인 것을 생각했을 때 2.5배입니다. 당연히 총 보수 외 지불하는 비용을 더한다면 비용이라는 측면에서 일반계좌에서 SCHD 직투가 나은 선택지로 보입니다.

자료 : 신한자산운용

 

2. 월배당이 주는 원활한 현금흐름

연금 수령 시기에 SOL 미국배당다우존스는 매월 배당금을 수령하여 생활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CE미국고배당이 분기 배당인 것을 생각하면 SOL 미국배당다우존스가 메리트가 있습니다. SCHD 역시 분기 배당이므로 3,6,9,12월을 제외한 달에 배당을 받지 못합니다. 12월에 받는 배당으로 3월 배당금을 받기 전까지 분배하는 것도 방법이기에 조삼모사처럼 느껴질 수 있는 요소이지만 꾸준히 현금이 생긴다는 점은 분명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3. 연금계좌를 통한 과세이연 세액공제

동일한 인덱스를 추종하는 상품이지만 수수료에서 2.5배+@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일반계좌에서 투자를 할 경우 SOL 미국배당다우존스는 SCHD를 수익률 측면에서 이길 수가 없습니다. 연금계좌를 통해 세액공제 그리고 인출 전까지 배당소득세 15.4%를 과세 이연하고 재투자를 통해 복리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금 수령 전에 돈을 인출해야 할 경우 16.5%의 기타소득세가 발생한다는 점. 55세 이후부터 10년동안 돈을 분할 수령해야 한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힙니다.

 

4. SCHD와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선택은?

연금 수령기까지 투자할 자신이 있다는 전제 조건 하에 1년에 투자하는 비용이 1800만원 이상인 투자자들은 SCHD와 SOL미국배당다우존스를 고민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습니다. 어차피 1년에 투입할 수 있는 자금은 1800만원으로 한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씨드머니를 불릴 투자자들은 1800만원 투자 이후 남는 씨드머니를 일반 계좌를 통해 국내주식(삼성전자, 네이버, 카카오 등), 해외주식 (애플, 테슬라 등)에 투자해야 합니다. 연금저축계좌의 장단점, 연간 씨드머니를 고려해서 SCHD와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2개 다 투자하는 방법도 좋은 선택지로 생각됩니다.

자료 : 구글

반응형
반응형

페트로브라스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 본사를 두고 있는 브라질의 에너지 기업입니다. 국내에서 한국인이 브라질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을 거래하기는 매우 힙듭니다. 하지만 페트로브라스는 미국에 ADR 형식으로 뉴욕 증시에 보통주와 우선주가 상장을 하여 한국인을 비롯한 전세계 개인투자자들이 손쉽게 매수할 수 있습니다. 미국 달러로 환전해서 굳이 브라질 주식을 사는 것이 무슨 메리트가 있겠냐고 할 수 있습니다만 페트로브라스는 엄청난 배당수익률을 제공하며 브라질 최대의 우량주라는 점이 투자 포인트로 꼽힙니다.

브라질에서 시가총액이 가장 큰 5개 기업

 

페트로브라스(PBR.A) 투자 포인트, 리스크 알아보기

1. 페트로브라스가 돈을 버는 방법

투자 포인트를 알아보기 전에 페트로브라스가 어떻게 돈을 버는지 알 필요가 있습니다. 배당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게 아니라 기업의 이익에서 나오기 때문에 투자하는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파악해야 합니다.

 

페트로브라스는 석유와 천연가스 탐사가 핵심입니다. 대다수의 주요 석유 및 가스 회사가 그러하듯이 탐사 시 E&P 컨소시엄을 사용하여 파트너십을 맺고 있으며 주로 브라질의 깊은 심해에서 유전을 생산해 냅니다. 에탄올, 바이오디젤 또한 페트로브라스의 포트폴리오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석유의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 미국, 유럽, 호주 순입니다.

자료 : 페트로브라스

 

그리고 전략 계획 발표 2022-2026에 따르면 총 석유 생산량은 2022년 210만 b/d에서 2026년에 260만 b/d로 약 24%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석유 생산량의 증가, 그리고 같은 기간 회사의 총 장기부채를 600억 달러라고 밝혀 2014년 대비 절반으로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ESG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페트로브라스 역시 단순히 석유와 천연가스 탐사만 하는 것이 아니라 2022~2026년 동안 카펙스 2.8빌리언 달러 규모의 저탄소 (탈탄소) 카펙스가 예고되어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바이오 항공유, 재생 디젤이 페트로브라스의 차기 먹거리 중 하나로 성장할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투자 포인트 : 높은 배당률

배당률이 매우 높습니다. 미국에 상장된 미국주식들의 경우 3%만 되어도 고배당주의 범주로 분류되는 반면에 페트로브라스는 40~60% 사이의 높은 배당률입니다. 이스라엘의 ZIM이 떠오르는 배당률인데요. 현재를 기준으로 페트로브라스 우선주의 한 주당 배당금은 6.3달러인데, 이는 주당 0.92달러를 지급하는 애플 주식의 7개에 준하는 배당금입니다. 주당 가격 또한 애플이 10배 넘게 비싸고요. 정부가 지분 29%를 갖고 있으며 브라질에서 가장 큰 에너지 기업이라는 펀더멘탈이 배당금 지급에 대한 믿음을 주고 있습니다.

자료 : 네이버

 

3. 리스크 : 정치적 불안 요소

석유 기업으로서 국제 유가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그리고 페트로브라스 주주들이 가장 크게 걱정하는 것은 브라질의 정치적인 리스크가 가장 큰 위험으로 꼽힙니다. 페트로브라스는 페트로브라스 스캔들 (Petrobras scandal) 을 겪은 적이 있습니다. 권력 부패 스캔들에 연루되어 막대한 양의 부채를 지게 된 경력이 있습니다.

 

 

또한 대통령인 룰라의 당선 또한 악재로 보는 시선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고자 원유 가격을 낮추겠다는 발언을 한 적이 있기에 이 발언이 실현될 경우 페트로브라스의 수익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룰라 대통령 단 한 사람의 리스크인 것도 아니라 브라질 감사 법원에서는 페트로브라스의 배당금 지급을 중단 요청한 것도 최근의 일이며 법원의 결정에 따라 배당과 주가가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을 투자하기 전에 명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미국주식 투자의 장점은 주주친화적인 요소도 있지만 멀리 떨어진 나라의 기업임에도 우리에게 친숙하다는 점도 있습니다. 종사하는 업계에서 1~2위 점유율과 기술력, 브랜드 가치를 보유하고 있어서 누구나 알 만한 기업이 많습니다. 아이폰의 애플, 윈도우의 마이크로소프트, 검색 및 유트브의 구글, 타이레놀의 존슨앤존슨, 전기차 시장의 리더인 테슬라, 맥도날드, 나이키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미국 기업들 중에서 한국인에게 생소한 기업은 민간 의료보험 업체인 유나이티드헬스 그룹입니다.

 

미국 시가총액 1위부터 50위

 

민간으로 운영되는 의료 보험업체로서 미국 내수 주식에 해당됩니다. 전세계적인 추세인 고령화 현상은 미국도 피해갈 수 없는데요. 유나이티드헬스 그룹(UNH)는 고령화로 인한 의료 지출 비용 증가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미국 1등 점유율의 헬스케어 기업입니다. 성장과 배당이라는 측면에서 모두 만족시키는 유나이티드헬스 그룹을 알아보겠습니다.

 

 

United Health Group 미국주식 투자 포인트 알아보기

1. 건강보험과 디지털 헬스케어, 두 개의 기둥

유나이티드헬스 그룹은 건강보험인 유나이티드헬스케어(UnitedHealthCare)와 옵텀(Optum)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의료업에 해당하는 유나이티드헬스케어는 전체 매출의 70~80% 가량 차지하는 캐시카우입니다. 그리고 UNH의 차세대 성장동력인 옵텀은 전체 매출의 30~40% 정도를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 그중에서 옵텀RX, 옵텀헬스, 옵텀인사이트로 나뉩니다.)

자료 : 알파시트

 

옵텀 헬스를 통해 축적된 전자의무기록, 모니터링 및 임상 데이터를 얻으며 옵텀 RX를 통해 의약품과 처방전 데이터를 쌓고 옵텀 인사이트를 통해 의료데이터를 분석합니다. 그리고 옵텀으로 얻은 데이터는 전통사업인 유나이티드헬스케어와 시너지를 일으킵니다. 유나이티드헬스케어는 옵텀으로부터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험 손해율을 낮출 수 있습니다.

 

2. 고령화로 인한 혜택을 누릴 수 있음

미국인의 의료 비용은 매년 증가합니다. 인구는 여전히 증가 중이지만 태어나는 사람보다 늙는 사람이 많기 때문입니다. 유나이티드헬스 그룹은 이 꺾을 수 없는 추세에 올라탈 수 있는 기업입니다. 테슬라의 여러 투자 인사이트 중 하나는 테슬라라는 기업 그 자체도 있지만 대세가 될 전기차 시장에 탑승하자는 점도 있습니다. 유나이티드헬스 그룹도 비슷한 논지라고 생각합니다. 우상향할 시장에서 시장을 리드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유나이티드헬스 그룹의 경쟁자는 앤섬, 휴마나, 시그나 등이 있지만. UNH는 그중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3. 잘나가는 본업과 정책의 수혜를 통해 매년 성장하는 실적

안그래도 업계 최고인 유나이티드헬스 케어는 미국 정부의 정책인 메디케어를 통해 실보다는 득이 많다는 것으로 시장이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메디케어란? 미국 정부가 시행하는 사회보장제도로서 65세 이상 혹은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건강보험 프로그램) 유나이티드헬스 그룹은 EPS 예상치는 2031년까지 연평균 10%이상 성장할 것으로 애널리스트들은 예측하고 있습니다.

 

4. 주주친화적 + 엄청난 배당성장률

유나이티드헬스 그룹은 미국기업답게 주주친화적입니다. 현재까지 배당금을 매년 연속 인상한 지는 12년 밖에 되지 않아서 코카콜라와 같은 배당킹은 아닙니다. 하지만 배당금은 매년 엄청난 속도로 올려주고 있습니다. 배당 성향 역시 20~30%대를 유지함으로서 추가적인 배당 인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배당 자체는 2001년부터 지급했지만 본격적인 배당금의 인상은 2010년부터 입니다. 어느 순간부터는 배당금의 상승 퍼센티지가 한 자리로 줄어들 수는 있겠지만 앞서 살펴본 유나이티드헬스의 사업과 미래 전망을 고려해 볼 때 UNH는 배당성장주로서 투자 포인트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미국 빅테크 중에서 배당금을 지급하는 두 개의 기업입니다. 다만 배당금이 증가하는 것 이상으로 주가가 상승했기 때문에 배당수익률 자체는 낮은 편입니다. 그래서 배당주로 인컴 수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에게 주목받지 못하는 경향이 있지만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주가상승으로 인한 시세차익과 배당금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가진 성장주이자 배당주입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배당주 관점에서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의 매력을 살펴보겠습니다.

 

배당주로서 AAPL, MSFT 매력 분석

1. 본업을 잘 하는 회사

배당(dividend)는 기업이 벌어들인 돈을 주주들에게 지급하는 금액입니다. 좋은 배당주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자신이 투자하는 해당 회사가 돈을 잘 벌고 있느냐,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돈을 잘 벌어서 배당금을 지급할 수 있느냐입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할 수는 없는 법입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통신사인 AT&T는 고배당주식으로 유명했지만 저조한 실적 속에 배당금을 감당할 수 없어서 배당을 삭감했습니다. 배당투자자이면서 장기투자자라면 회사가 회사가 본업을 잘 하는 회사인지 알아야 합니다.

 

아래 그래프는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의 2031년, 2032년까지 주당 순이익 전망치입니다. (Earning Estimate) 마소의 향후 실적이 더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하긴 하지만 애플 역시 현재보다 미래에 더 많은 돈을 벌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배당을 삭감하거나 중단하지 않고 배당금을 꾸준히 지급할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배당금을 크게 인상하는 회사라는 점

배당주로서 애플과 마소의 두 번째 투자 포인트는 배당금을 8년 간, 17년 간 꾸준히, 그리고 크게 증액해왔다는 점입니다. 아래 이미지에서 애플과 마소의 연속 배당금 증액 연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첫 번째 투자 포인트가 본업을 잘 하는 회사라고 주장했습니다. 두 번째 투자 포인트는 첫 번째 투자 포인트에서 연결됩니다. 돈을 잘 버는 회사가 앞으로도 돈을 더 잘 벌게 될 것이니 배당금 또한 커질 것이다는 논리입니다. 또한 두 회사는 Payout Ratio, 즉 배당 성향에서 10% 중반대와 20% 중반대를 유지하고 있는데요. 이 배당 성향은 배당주 중에서 낮은 편에 속하기에 앞으로의 배당금 급격한 배당 인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우리의 일상에 존재하는 기업

미국 주식, 특히 S&P500 내에서 배당금을 지급하는 배당주들은 미국 내수에서 사업을 하는 산업주, 원자재주식, 보험업, 금융주이거나 정유주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회사들은 미국 500대 기업에 포함되는 좋은 기업이지만 안타깝게도 한국인들 입장에서는 뭐하는 회사인지 알기 어렵고 정보를 얻기도 힘들다는 점이 있습니다. 반면 애플은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부터 에어팟 등의 제품을 접하면서 애플이라는 회사를 이해하기 쉬우며 관련된 정보를 얻기도 수월합니다. 배당주에 장기투자함에 있어서 주식의 주가가 급락할 때 이유를 알지 못한다면 쉽게 패닉셀을 할 수 있습니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기업의 펀더멘탈 외에도 다른 미국 배당주 보다 오래 보유할 수 있는 요소를 갖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Apple, Microsoft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