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튜브나 국내 기사들을 보면 한국인의 미국주식 순매수 상위에서 TQQQ, SOXL, QLD, FNGU가 매수세가 강하다. 테슬라, 엔비디아 등 고성장주가 예탁원 보관 금액에 1위다 2위다와 같은 기사, 동영상을 보셨을 겁니다. 실제로 국내에서는 테슬라, 애플,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라는 기술주가 5위까지 형성하며 그 바로 아래 TQQQ가 있습니다. 확실히 한국인들은 기술주와 레버리지의 민족이지만 모두가 같은 투자를 하고 있지는 않지요. 배당주, 인컴주식 투자자 역시 상당합니다. 배당주 중에서는 ETF인 찰스 슈왑의 SCHD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기술주와 고성장주 위주로 자산이 폭락한 시점에 배당주들은 상대적으로 하락률이 작기 때문에 상승 퍼포먼스도 우수한 편이며 3% 배당률을 가진 SCHD의 관심과 언급이 늘고 있습니다.

 

보관금액 기준 50위권 내에 있는 SCHD

 

베어마켓이기 때문에 SCHD 역시 달러 기준으로 고점에서 16% 가량 하락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미국주식에 투자하는 한국인에게는 환율의 상승으로 인해서 주가 하락율의 완충재 역할을 해주고 있기에 SCHD의 하락을 체감하기 어렵습니다. 간단하게 올해 1월 3일 영업일 첫날 SCHD를 최고가 부근에서 매수했다고 하여도 주가가 내린 것 이상으로 환율이 올라서 손실이 아니라 수익을 보고 있을 것입니다.

 

SCHD와 미국 달러 환율의 YTD

 

이러한 점은 SCHD의 국내 상장 ETF인 KINDEX 미국고배당S&P (402970)의 가격을 보면 더욱 알기 쉬운데요. 킨덱스의 ETF와 Charles Schwab의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SCHD)는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 라는 동일한 기초지수를 추종합니다. 이 ETF의 경우 위 SCHD의 주가 하락과 환율의 변동이 반영된 환노출 ETF로서 1월 첫 영업일 날 매수를 했다고 하더라도 연중 기준으로 수익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워렌 버핏, 존 보글, 피터 린치 등 투자자들과 함께 위대한 투자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레이 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들어보신 분들이 계신가요? 주식과 금, 채권, 원자재에 자산을 배분하는 것으로 유명한 투자 방법입니다. 또한 국내에서는 부동산,주식,금,달러에 자산배분하라는 격언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배분하는 자산에는 차이가 있지만 공통점은 "몰빵을 하지 말라", 주식과 역의 상관관계의 자산에 투자하라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 원자재, 달러(유로화, 파운드, 엔화 등 안전자산 포함)에 선뜻 투자하기 힘든 것도 사실입니다. 주식처럼 펀더멘탈이 있는 것도 아니고 국제 정세, 여러 이벤트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지요. 

미국의 전설적인 투자자 레이 달리오 트위터

 

다만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한국인 입장에서는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것 그 자체로 달러에 투자하는 것이기에 이미 자산배분의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 시기, 각종 경제 위기 때마다 국내주식 뿐만 아니라 미국주식도 하락을 하게 됩니다. 또한 돈은 신흥국 이머징 마켓에서 미국으로 몰리게 됩니다. 대한민국은 선진국이지만 여전히 신흥국 바운더리 속해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미국주식이 떨어지고 원화 약세가 겹친다고 하더라도 미국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인은 종목만 잘 골랐다면 위 SCHD의 예시처럼 자산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 혹여나 손절을 해야 할 상황에서도 올라간 환율이 "환쿠션" 역할을 해줘서 일부분의 손실을 방지해줄 수 있습니다. 재테크 목적이 아니라 자산배분을 위해서라도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미국주식 3배 레버리지 ETF 중에서는 TQQQ, SOXL, BULZ, FNGU가 유명합니다. 3배로 잃을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3배로 벌 확률이 존재하기 때문에 2배수 레버리지 상품 보다 거래량이 훨씬 많은 편입니다. 하지만 레버리지 ETF를 매매하고 싶지만 3배는 부담스러운 경우에 순한맛의 2배 레버리지도 수요는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 나스닥 100을 2배로 추종하는 QLD와 S&P500을 2배로 추종하는 SSO가 있습니다. 두 ETF의 거래량은 비슷한 편이지만 국내에서는 QLD의 인지도가 압도적입니다. 

 

오늘 소개할 ROM은 QLD와 비교할 때 구성종목도 비슷하고 많이 겹치며 2배 레버리지 ETF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추종하는 인덱스가 다르기 때문에 여러 차이점도 존재합니다. 이미 국내에서 ETF로 수입됐을 정도로 유명해진 QLD와 ROM을 비교해보겠습니다.

 

[미국주식 ETF] ROM vs QLD 비교해보기

1. 자산운용사 및 수수료 비교하기

오늘의 주인공 ROM과 QLD의 자산운용사는 모두 Proshares 입니다. TQQQ, SQQQ, UVXY (빅스 숏) 등 레버리지 ETF로 유명한

자산운용사이기에 ROM을 잘못 운영할 걱정은 할 필요가 적어보입니다. 수수료 역시 0.95%로 QLD와 같은 수준입니다. 같은 자산운용사에 같은 총보수이니 어느 ETF가 더 낫냐를 고민할 필요 없이 동점입니다. 상장일이 QLD가 1년 가량 빠르긴 하지만 ROM과 QLD 모두 10년이 넘는 기간동안 상품이 거래되고 유지되었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없다고 보여집니다. 다만 거래량은 ROM이 QLD의 10%도 되지 않기 때문에 매수 및 매도에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왼쪽 ROM, 오른쪽 QLD

 

2. ROM과 QLD의 추종 인덱스는?

QLD는 Nasadaq-100 Index를 기초지수로 삼고 있습니다. 같은 인덱스의 1배수 상품으로는 그 유명한 인베스코의 QQQ입니다. 반면 ROM은 Dow Jones U.S. Technology Index입니다. 기술주 1배 ETF 중에서는 블랙록 iShares의 IYW가 존재합니다. 레버리지 ETF의 구성 종목을 보면 스왑과 달러가 포함되어 있어서 주식의 비중을 알기 불편하고 인덱스의 과거 성과는 조회가 어렵기 때문에 ROM과 QLD의 구성 종목 및 과거 성적은 IYW와 QQQ를 참고하겠습니다.

 

3. ROM과 QLD의 구성 종목은?

다우존스 기술주 지수는 미국에 상장된 기술주를 인덱스화시킨 것이고, 나스닥100 지수는 나스닥에 상장된 주식 중에 금융과 리츠를 제외한 종목들로 구성된 지수이기에 기술주라고 불리는 주식이 아니더라도 종목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펩시, 코스트코 등) 다만 나스닥에 기술주가 많이 포진되어 있기에 기술주만 분류한 것이 아님에도 ROM과 QLD의 구성 종목은 많이 겹치는 편입니다.

 

아래 표는 ROM과 QLD의 상위 15개 비중을 나타낸 것인데요. 비슷한 듯 하지만 ROM에 없는 것이 QLD에는 있고 QLD에는 없는 것이 ROM에는 포함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테슬라와 아마존은 다우존스의 기업 섹터 구분 기준으로는 경기소비재로 분류되어 기술주가 아닙니다. 또한 ROM에는 필수소비재인 펩시와 코스트코가 없으며 네덜란드 기업인 ASML이 없습니다. Dow Jones U.S. Technology 기업만 유니버스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ROM과 QLD의 구성 종목의 차이는 크게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ROM이 상위 3개 종목에 대한 쏠림이 크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2. 구성 종목 상위 4위부터 QLD와 비슷한 비중으로 작아진다.
  3. ROM의 지수는 테크놀로지 섹터 기업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QLD에 있는 코스트코, 펩시가 없다.
  4. ROM의 지수는 미국 기업만 포함하기 때문에 QLD에 있는 ASML이 없다. (네덜란드 기업)
  5. 구성종목 수 ROM 147개, QLD 103개
  6. 테슬라 및 아마존은 경기소비재 (또는 자유소비재, 임의소비재)로 분류되어 ROM에 없다.

 

4. 과거 성과

QLD의 상장일을 기준으로 비교한 ROM과 QLD의 백테스트 비교입니다. 전체 기간 동안은 QLD가 2014년 이후로 쭉 ROM을 앞섰으며 최근 5년 동안은 시가총액이 큰 메가캡 빅테크 기업들의 독주로 인해 ROM이 좀 더 나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5. 결론

FNGU의 2배수 ETF인 FNGO와 같이 낮은 거래량이라는 단점으로 인해 QLD를 대체하기 어렵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전체 성과 역시 QLD를 뛰어넘지 못했으며 기술주의 분류 방식으로 인해 아마존과 테슬라라는 최고의 기업들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 역시 아쉽게 느껴집니다. 다만 1등 기업인 애플의 비중이 QLD보다 크다는 요소로 인해 애플의 상승 및 하락에 따라 특정 기간 동안 QLD보다 좋은 성과를 내거나 그나마 하락률을 방어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일장일단의 모습을 갖고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SPY, IVV, VOO는 S&P 500 인덱스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S&P 500은 미국 증권시장에 상장된 500개의 우량 기업에 투자하기 때문에 미국에서 거래되는 ETF 자산 규모에서도 앞의 ETF들이 1, 2, 4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3위는 뱅가드의 VTI) 3개의 ETF는 같은 주가 지수를 추종하면서 동시에 규모도 크기 때문에 ETF 투자 시에 어떤 ETF를 선택할 지 고민에 빠질 수 있습니다. IVV는 세계 최대의 자산 운용사인 블랙록의 상품으로 ETF 자산 규모 2위이지만 한국에서는 뱅가드 그룹이 운용하는 VOO의 언급량이 많은 편입니다. 하지만 VOO와 IVV는 수수료가 같고 자산 규모가 비슷하기 때문에 VOO와 SPY를 비교해보겠습니다.

 

SPDR S&P 500 Trust vs Vanguard 500 비교

1. 총 보수

SPY의 수수료는 0.09%로 매우 낮은 편입니다. TQQQ, SOXL 등 레버리지 ETF의 1/10 규모이며 레버리지 ETF가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패시브 ETF, 액티브 ETF 보다 저렴한 비용입니다. 하지만 VOO, IVV의 수수료 비용은 SPY 보다 더 저렴한 0.03% 입니다. 왜 VOO의 수수료가 SPY의 것보다 더 저렴할까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는데요. 뱅가드, 블랙록 ETF라고 해서 무조건 SSGA의 ETF 보다 저렴한 것은 아닙니다. SPY가 VOO 보다 17년 먼저 상장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더 오랫동안 운용된 역사를 가진 SPY를 선호할 수밖에 없습니다. 동일한 인덱스를 추종함에 있어서 후발 주자의 상품이 더 저렴한 수수료를 제공하는 것은 찰스 슈왑, VanEck, 인베스코 등 여러 자산운용사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좌 : SPY, 우 : VOO

 

2. 수수료 차이로 인한 수익률 차이

파란색이 SPY, 빨간색 VOO 입니다. VOO의 상장일을 기준으로 SPY에 같은 금액을 투자했다면 아래와 같이 VOO로 수익률에서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눈덩이를 오래 굴릴수록 크기가 커지듯이 ETF 역시 수수료 차이로 인한 수익률의 스노우볼링은 투자 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효과를 확인하기 쉽습니다.

 

VOO보다 10년 가량 먼저 상장한 IVV와 SPY를 비교 시 1%가 넘는 수익률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차피 똑같은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것이라면 비용이 더 저렴한 VOO와 IVV가 SPY 보다 장기투자에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단기 트레이딩 시 거래량

수수료와 수수료 차이로 인한 수익률 차이는 장기투자 시 중요한 사항입니다. 반면 단기 트레이딩 시에는 거래량이 중요합니다. IVV, VOO의 일일 평균 거래량은 SPY의 10%도 되지 않습니다. IVV, VOO로 특정 가격에 매도 및 매수 시 체결이 느려져 원하는 가겨에 사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SPY는 세계 최초의 ETF인 만큼 스프레드의 촘촘함, 거래 체결 측면에서 IVV, VOO 보다 우수합니다.

 

4. 분배금 (배당)

미국주식의 매력 중 하나는 배당을 받는 재미일 것입니다. 분기 마다 배당을 주기 때문에 1,2,3월 분기에 배당을 주는 종목을 고르면 매 달 배당을 지급받는 월배당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주식 배당주를 찾다보면 3월, 6월, 9월, 12월 분기배당을 지급하는 종목들이 많고 그 다음으로 2월, 5월, 8월, 11월에 배당하는 종목들이 많습니다. 1,4,7,10월에 배당을 지급하는 종목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SPY는 1,4,7,10월에 분배금을 받을 수 있으므로 배당 받는 재미, 현금흐름을 만들고 싶은 투자자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S&P500 내 500개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는 SPDR의 SPY를 비롯하여 블랙록의 IVV, 뱅가드의 VOO가 있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된 우량 기업들을 한 번에 투자할 수 있다는 점, 과거 데이터가 입증하는 안정성과 수익률 등으로 인해 가장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ETF 입니다. 하지만 개인투자자 마다 투자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개별주식과 마찬가지로 여러 ETF가 존재합니다. 수많은 ETF 중에서 단연 관심도 많고 돈이 많이 쏠리는 것은 SCHD일 것입니다. 3%가 넘는 배당률에다가 100개의 배당주로 구성되어 있기에 변동성도 작으며 S&P 500 ETF과 비슷한 수익률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과거 데이터가 미래에도 똑같이 흘러가진 않지만 참고는 될 수 있습니다. ETF의 클래식에 해당하는 S&P 500 ETF와 핫한 ETF인 SCHD의 과거 성과를 비교해보겠습니다.

 

미국주식 SCHD vs VOO 퍼포먼스 알아보기

1. 배당금 재투자를 하지 않는 경우

ETF로부터 지급 받는 분배금 (배당금)을 모아서 ETF를 사는 재투자를 제외하고 순전히 ETF의 주가상승률만 비교한 경우 수익률은 아래와 같습니다. 파란색의 VOO가 빨간색의 SCHD를 압도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투자 초기에는 빨간색의 SCHD의 수익률이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만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테슬라, 엔비디아 등 고성장 테크주식들이 포함된 VOO의 주가 상승률에 밀려서 수익률 갭이 벌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 실험으로 내릴 수 있는 결론

  1. 투자 단기적으로는 SCHD가 S&P500 ETF 보다 좋은 수익률을 낼 수 있다.
  2. VOO를 구성하는 빅테크 주식들로 인해 장기적으로 수익률의 갭이 생긴다.

 

2. 배당금 재투자를 한 경우

배당금 재투자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투자자가 투자한 ETF로부터 지급받는 배당금을 원화로 환전해서 생활비에 쓰는 것이 아니라 주식 또는 ETF를 매수하는 것입니다. ETF 중에서는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일처리를 자산운용사가 대신 처리해주는 Total Return (TR) ETF가 있습니다. SCHD의 배당률은 S&P500 ETF의 약 2배 가량 많다는 점을 생각하면 아래 첨부 이미지를 보지 않더라도 VOO와 SCHD의 수익률 갭이 줄어들었음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배당금을 재투자 했음에도 파란색의 VOO가 SCHD를 능가하는 퍼포먼스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그래프 오른쪽 끝을 보면 VOO가 큰 낙폭으로 하락한 반면에 SCHD는 하락폭이 낮음으로 인해 수익률이 크로스가 됐습니다. (글 작성 날짜 기준) 방어력이라고 불리는 SCHD의 작은 변동성이 힘을 알 수 있는 점입니다. 

 

위 실험으로 알 수 있는 요소

  1. 배당금을 재투자 하더라도 SCHD는 투자 대부분의 기간 동안 VOO,IVV에 밀리는 수익률을 보여줌
  2. 하지만 VOO 대비 더 많은 배당금을 기반으로 배당금을 재투자하지 않는 것 대비 수익률의 갭이 줄어듦
  3. 미국 증시에 수십년만에 한 번 올까말까한 하락장이 온다면 방어적인 성격이 강한 주식들로 구성된 SCHD가 VOO, IVV 대비 낮은 하락으로 버텨내고 VOO의 총수익률을 넘어설 수 있음

 

3. 결론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봤을 때 VOO 또는 IVV, SCHD를 같이 투자했다면 투자하는 기간 동안 VOO가 더 많은 수익을 안겨줬을 것입니다. 하지만 금리 인상 시기, 미중 무역 분쟁 시기, 인플레이션 등 경제 위기와 관련된 시간 동안 S&P500 ETF가 더 많은 하락과 횡보를 하는 동안 성숙기에 접어든 우량한 배당 기업 100개가 만들어내는 안정적인 주가흐름이 상승장 때 벌어졌던 VOO와의 수익률을 메꾸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퇴직 후 은퇴자금의 일부를 ETF에 투자한다면 변동성이 작고 약 2배 가량 더 높은 배당금을 지급하는 SCHD가 좋은 선택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