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주식에 투자하는 한국의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종목은 테슬라, 애플이며 ETF로서는 3배 레버리지 상품인 TQQQ와 반도체 3배로 불리는 SOXL 입니다. SOXL은 반도체와 관련된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고 인덱스 기준으로 나스닥을 능가하는 퍼포먼스를 보여왔습니다. 그런 데다가 B2B 종목이 많아서 개별 종목으로 파고 들어가면 공부해야 할 것들이 많다보니 ETF로, 기왕이면 3배 레버리지 상품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SOXL의 주가 차트

 

SOXL 투자자들 사이에서 자주 들리는 곡소리는 아마 인텔일 것입니다. 오를 때는 엔비디아, AMD, ASML과 같은 종목들보다 못 오르면서 내릴 때는 변동성이 크다보니까 인텔에 대한 이야기가 자주 나옵니다. 분명 시가총액으로는 엔비디아의 절반 수준이며 ASML 보다도 작아진 인텔의 비중이 SOXL, 그리고 1배수 상품인 SOXX에서 높은 이유, 반도체 대장주인 TSMC의 비중이 낮은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SOXX를 운용하는 iShare의 블랙록, SOXL을 운용하는 디렉시온은 자사의 상품이 ICE Semiconductor Index이라는 인덱스를 추종하도록 관리하는 것이기에 SOXL이 추종하는 지수가 어떤 기준으로 구성 종목을 선별하고 어느 비중으로 가져가는 지 알아봐야 합니다.

 

SOXX와 SOXL가 추종하는 인덱스에 대해 알아보기

ICE 반도체 지수란?

요약하자면 ICE 반도체 지수는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30대 반도체 기업들로 구성되며 시가총액 가중치에 따라 구성 비중에 차이를 둡니다. 반도체를 통해 전자 응용에 활용하거나 LED와 OLED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 패키징 및 테스트 등 반도체를 생산하는 서비스나 장비를 제공하는 기업도 포함합니다.

 

ICE 반도체 지수, 구성 종목의 비중 기준은?

  1. 모든 구성 요소는 (종목) 최대 비중이 8%로 제한되며 초과 중량은 구성요소에 비례하여 재분배됨
  2. 8% 비중이 적용된 초기 5대 구성 요소 이외의 가중치는 4%로 제한되며 초과 가중치는 (8% 이상으로 증가할 수 없는 경우) 및 (ii) 4% 미만인 다른 구성 요소(4%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경우)에 고려하여 재분배됨
  3. 모든 ADR의 누적 가중치는 해당 그룹에 비례적으로 적용되는 감소로 10%로 제한된다.

 

TSMC와 ASML의 비중이 낮은 이유

제목의 주인공인 인텔을 설명하기 앞서서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이자 시가총액 1위 기업인 TSMC와 EUV 노광 장비를 독점으로 제공하는 네덜란드의 ASML의 비중이 작은 이유부터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구성 종목의 비중을 살펴보면 ADR 주식의 누적 가중치를 10%로 제한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상위 5개 기업이 갖는 최대 8%의 비중에도 포함되지 못합니다. 최대 10%의 비중 중에서 TSMC, ASML이 가장 큰 지분을 차지합니다. TSMC와 ASML이 차지가호 남은 나머지 비중은 정기 지수 리밸런싱으로 인해 종목은 매번 바뀌지만 주로 미국증시에 DR 상장하는 사례가 많은 대만 기업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인텔의 비중이 높은 이유

최대 비중을 8%로 가져가는 기업이 5개이며 인텔 보다 시가총액이 큰 TSMC와 ASML이 ADR 주식이기에 미국 증시에서 인텔 보다 시가총액이 큰 기업은 엔비디아와 브로드컴 뿐입니다. 그렇기에 인텔은 시가총액 가중 방식에 따라 최대 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향후 AMD, 퀄컴, 텍사스인스트루먼트와 같은 인텔과 시가총액이 비슷한 기업이 인텔의 시가총액을 추월한다면 인텔의 비중이 최대 4%로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SCHD는 서학개미들에게 사랑받는 미국주식 ETF 중 하나입니다. MTS 매수 상위에 TQQQ, SOXL, BULZ 등 기술주 3배 레버리지 ETF들 사이에 SCHD가 중간에 끼어있는 경우가 참 많을 정도입니다. 배당률은 시장지수인 S&P500과 비교하여 높으며, 주가상승 또한 시장만큼 성장하는 퍼포먼스를 보여주기 때문일 겁니다. 또한 SCHD를 제외한 배당 ETF들의 거래량이 활발하지 않아 거래량이 풍부한 SCHD에 더 몰리는 점도 있을 것입니다. 그만큼 낮은 수수료, 수익률, 배당률, 총수익률 등 SCHD가 상장한 이래 보여준 퍼포먼스가 다른 배당 ETF를 압도했기 때문에 인기가 많은 것입니다. 하지만 무작정 매수를 하는 것보다는 몇 가지 단점과 리스크를 알고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조회기간이 짧지만 SCHD의 매수 인기는 QQQ에 견줄 정도이다.

 

SCHD 배당 ETF 투자하기 전 리스크 분석하기

1. SCHD 에는 리츠가 없다. (부동산 주식)

SCHD가 추종하는 지수인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는 리츠를 제외하고 인덱스가 구성됩니다. 리츠 주식들은 배당률이 일반 주식들 보다 높은 배당률을 제공하기에 리츠도 포함되었겠거니 생각하기 쉽지만 이 지수에 리츠는 유니버스를 구성하는 일부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없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리츠를 배제하였습니다. 이는 지수를 추종하는 SCHD에도 적용됩니다. 리얼티인컴과 같은 우량한 배당성장주가 없다는 점, 섹터 분산 측면에서 특정 섹터가 배제되어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2. 꾸준한 배당금 지급 여부는 필요하지만 배당 성장은 관계없다.

 SCHD ETF를 매수하는 투자자들의 매수 포인트는 여러 가지일 것입니다. 배당률이 높으면서 S&P500에 준하는 총수익률을 안겨주는 것도 있지만 인플레이션을 가뿐히 뛰어넘는 배당금의 증액에 주목을 하고 투자하는 수요 역시 많습니다. 하지만 위 다우존스 배당 100 지수에 편입되기 위해서는 10년 연속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배당금을 지급한다는 것이 배당금을 인상했다와 동일한 것은 아닙니다. 배당금의 증액이 ETF 포함 조건에 포함된 VIG, DGRW, DGRO와 차이점이 있습니다. SCHD에 투자한다면 배당금이 성장하지 못할 리스크를 염두해야 합니다.

 

3. SCHD 구성 종목 비중을 결정하는 4가지

잉여현금 대비 부채 비율, ROE, IAD (마지막 배당을 기준으로 배당수익률), 5년 연속 배당금 성장률 이 4가지로 점수화하여 100개를 추려냅니다. 그리고 100개의 종목 중에서 비중을 결정하는 작업을 걸칩니다. 특정 종목이 비대하게 비중을 차지하는 방지하기 위해 비중 한도를 4%로 제한하고 특정 섹터에 비중이 쏠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GICS가 분류하는 각 섹터의 비중은 25% 이상 차지할 수 없게 되어있습니다.

GICS란? Global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를 뜻하며 S&P와 MSCI가 공동으로 개발한 산업 분류 체계이다. 11개의 큰 섹터로 기업을 대분류하고 최대 158개의 하위 섹터로 분류한다.

GICS가 분류하는 11가지 섹터와 158개의 하위 섹터

 

4. 4가지로 제한된 구성 종목 조건의 단점

SCHD는 부채가 적으면서 현금흐름이 우수하며 자기자본이익률이 높고 배당률도 예적금 이상을 제공하는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배당금이 거의 증가하지 않더라도 주가가 떨어진다면 배당수익률은 올라가기 때문에 SCHD의 구성종목을 볼 때는 "이 종목은 좀.." 이라는 생각을 갖게 되는 종목이 여러 개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IBM의 경우 어닝에 대한 전망이 매우 좋지 않습니다. 이로인해 주가는 내려가게 되지만 배당률이 되려 올라가 SCHD 내에서 높은 비중을 유지합니다.

자료 : 시킹알파

 

5. 대체적으로 총수익률에서 S&P500을 밑돌았다.

2022년 상반기가 1970년 이후 최악의 상반기를 지낸만큼 현재는 SCHD의 총수익률이 S&P500을 상회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과거 데이터가 증명하듯 일부 구간에서 크로스되긴 하지만 곧 S&P500이 SCHD를 웃도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재테크는 결국 배당수익과 매도를 통한 시세차익의 합이 큰 것이 핵심입니다. 투자는 돈을 굴려서 노후를 대비하는 것인데 SCHD가 배당을 많이 준다한들 결국 S&P500 보다 못한 선택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교는 VOO로 함, 자료 :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SCHD 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ETF 모아보기

미국주식 투자자들은 성향이 다들 다릅니다. S&P500지수에만 투자하는 투자자도 있고 SOXL, TQQQ와 같은 레버리지 위주의 투자자가 있는 반면에 SCHD와 같은 배당 ETF를 선호하는 투자자도 있습니다.

adblo.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KINDEX 글로벌브랜드TOP10블룸버그 알아보기

1. 개요

한국투자신탁운용의 ETF 브랜드인 KINDEX의 새로운 ETF, KINDEX 글로벌브랜드TOP10블룸버그는 2022년 6월 28일에 상장했습니다. TOP10 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미래애셋 TIGER의 미국테크TOP10, 삼성자산운용 KODEX 미국FANG플러스처럼 10개의 소수 종목에 집중 투자하는 ETF입니다.

 

국내상장 해외주식형 ETF는 직투 대비 비교우위가 있어야 합니다. 국내 ETF가 수수료도 더 많이 요구하고 유동성도 떨어지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오늘 소개할 KINDEX 글로벌브랜드TOP10블룸버그처럼 미국에는 없는 ETF가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에서는 ETF에 최소 20개 이상의 종목과 상위 10개의 종목의 비중이 50%를 넘지 않게 요구하기 때문에 10개의 종목으로 구성된 ETF가 없지만 국내에서는 10개만으로도 ETF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FNGU, BULZ 등은 ETF가 아닌 ETN임) 

 

이러한 점에서 KINDEX 글로벌브랜드TOP10블룸버그는 미국에는 없는 오로지 대한민국에서만 투자할 수 있는 ETF 이기에 어떤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 궁금했습니다. Bloomberg Global Select Industry Leaders TOP10 Index 라는 지수를 추종한다고 했으나 구글 검색으로도 정보를 찾기 어려웠으나 한경닷컴의 유튜브 채널인 주코노미에 이 ETF가 소개되어 부족했던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코노미 채널에서 얻은 정보, 한국투자의 투자설명서를 바탕으로 ETF를 알아보겠습니다.

 

2. 지수 유니버스를 구성하는 기준

산업 분류별 브랜드 가치가 가장 높은 10개의 종목을 선정합니다. 하지만 브랜드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은 매우 다양하며 포브스나 포춘을 비롯한 조사기관에서 선정한 브랜드 가치는 설문조사이기에 주관적이며 객관적이지 않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KINDEX 에서는 블룸버그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덱스를 구성합니다. 블룸버그가 분류하는 59개의 세부 산업 분류에서 안정성과 성장성을 갖춘 10개의 산업 분류를 선별하고 각 산업별 1등 기업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킵니다.

자료 : 주코노TV

위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이 분류로 성장하는 TOP 브랜드를 뽑아보면 되겠다" 라는 언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59개 산업 분류 중에서 KINDEX의 석학들이 머리를 맞대고 구성 종목을 추려서 만든 액티브 ETF 에 가깝습니다.

 

3. 업종 비중 및 구성 종목

현재 ETF의 구성종목을 기준으로 업종 분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코노미 영상에서도 나오지만 산업 내 1등이 바뀔 경우에 리밸런싱을 하며, 10개의 산업 중에서 산업의 성장성과 안정성이 떨어질 경우에 다른 산업의 다른 1등 종목으로 바뀔 수 있기에 언제 이 블로그를 보게 되었냐에 따라 구성 종목은 다를 수 있습니다.

자료 : 한국투자신탁운용, 주코노미TV

 

4. 현재 구성 종목에 대한 소감

4. 1. 특정 업종에 치중된 것의 아쉬움

성장하는 산업을 선별하기에 구성 종목 중에서 성장성이 높은 산업인 IT 업종의 비중이 큽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애플이 IT 업종에 속합니다. 그리고 주코노미 영상에서 KINDEX 관계자의 말처럼 "IT 연관 산업인 게임 쪽의 블리자드", "얘는 좀 애매하지만" 이라는 수식어를 붙인 테슬라처럼 업종 비중으로 분류한 것보다 실질적인 기술주 비중이 더 크다는 것입니다. 

 

4. 2. "글로벌" 이지만 구성 종목이 미국에 치중된 것

현재 구성 종목을 기준으로 루이비통 및 디올 등 브랜드를 보유한 LVMH를 제외하면 10개 중 9개가 미국기업입니다. 국내 상장 해외주식형 ETF 중에 HANARO 글로벌럭셔리 S&P(합성)의 장점이 LVMH를 비롯하여 까르띠에, 피아제 등을 보유한 리치몬트 그룹, 케링 등 국내에서 거래하기 힘든 유럽 주식들에 손쉽게 투자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킨덱스의 ETF는 "미장에서 매수할 수 없으니 이 상품이라도 사야겠다" 라는 생각이 안 듭니다. KINDEX는 블룸버그의 산업 59개 산업 중에서 미국기업 9개가 1위를 했으니 그 것을 반영해 미국 기업의 비중을 높일 수밖에 없었겠지만 국내에서 거래하기 어려운 유럽 주식에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들의 니즈를 충족시켜주지 못한 것이 아쉽게 느껴집니다.

 

4. 3. 저 브랜드가 1위가 맞나? 라는 생각

전세계 석학들이 모여서 59개의 세부 산업 분야를 분류한 것이라고 하지만 과연 저 기업이 저 산업에서 1등이 맞는가에 대한 의문이 있습니다. 미국 S&P500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섹터 ETF인 XLC의 경우 액티비전 블리자드는 약 4% 정도의 비중 밖에 차지하지 못합니다. 1위 알파벳 (구글), 2위 메타 플랫폼에 비해 확연히 작은 규모입니다. 블룸버그의 집계 기준이 단순 시가총액이나 매출 기준이 아닌 나름대로의 산출 방식이 있다고 생각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섹터 ETF 내에서 액티비전 블리자드의 비중

 

5. ETF 정보 간단 정리

ETF 이름 KINDEX 글로벌브랜드TOP10블룸버그
종목 코드 435040
구성 종목  10개
자산운용사 한국투자신탁운용
추종 지수 Bloomberg Global Select Industry Leaders TOP10 Index
구성 종목 비중  동일가중지수
펀드 보수 (총 보수) 0.500%
종목 리밸런싱 1년 2회 진행
비중 리밸런싱 1년 4회 진행

 

 

반응형
반응형

미국주식 2배 레버리지 ETF 5종 소개

1. 개요

2. QLD, ProShares Ultra QQQ

3. SSO, ProShares Ultra S&P 500

4. FNGO, MicroSectors FANG+ Index 2X Leveraged ETN

5. GUSH, Oil & Gas Exp. & Prod. Bull and Bear 2X ETFs

6. USD, ProShares Ultra Semiconductors

 

미국주식 2배 레버리지 ETF 5종 소개

1. 개요

저는 투자 성향상 레버리지 ETF가 맞지 않아 TQQQ, SOXL, FNGU, BULZ 등 3배 레버리지 ETF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변동성이 엄청난 데다가 막상 투자한 시점이 반등 구간이 아니라 하락장 초입기일 경우 수익률을 복구하기 힘들기 때문에 1배수 주식 투자를 지향합니다. 하지만 3배수의 순한맛 버전인 2배 레버리지는 항상 관심목록에 추가하고 주시하고 있는데요. 미국주식 레버리지 ETF를 공부하면서 알게 된 종목들을 공유해보겠습니다. 

 

2. QLD, ProShares Ultra QQQ

2배수 레버리지 ETF 중에 가장 유명한 ETF 입니다. 국내에 상장된 미래에셋과 삼성자산운용의 나스닥레버리지 ETF와 같은 상품입니다. 나스닥100이라는 시장 지수를 추종하는 만큼 구성의 대부분이 빅테크를 포함한 우량주입니다. 1배수 중소형 개별주식의 엄청난 변동률을 보면 "차라리 QLD는 탈만 하겠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QLD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모든 레버리지 ETF 중 시가총액 3위 
  • 2배수 레버리지로 한정 시 시가총액 1위
  • 리먼 쇼크를 겪고도 상장폐지하지 않고 10년 넘게 운용 중
  • 2배수 상품이지만 수수료는 0.95%로, 3배 TQQQ와 동일함
  • 평균거래량 890만 건으로 매수 및 매도가 원활함

QLD vs QQQ

 

3. SSO, ProShares Ultra S&P 500

SSO는 미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시장 지수인 S&P500 지수의 2배 레버리지 ETF입니다. 국내에 상장된 미래애셋의 TIGER 미국S&P500레버리지(합성 H)와 동일한 상품입니다. S&P500은 미국에 본사가 있으며 시가총액 82억 달러 이상에 4분기 흑자 실적이라는 까다로운 조건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QQQ, QLD, TQQQ의 인덱스인 나스닥100 지수는 시가총액이 크고 일일 거래량 20만주 이상이라는 상대적으로 낮은 허들을 갖고 있습니다. 나스닥100은 적자기업임에도 조건만 갖추면 쉽게 편입될 수 있는 지수라는 뜻입니다. 즉, S&P500과 나스닥100 지수는 구성종목에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S&P500은 변동성이 적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2배 레버리지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레버리지 ETF임에도 타 ETF 대비 하락률이 적다는 게 장점입니다.

  • 모든 레버리지 ETF 중 시가총액 4위
  • QLD가 시총 3위이므로, 당연히 2배수 중에서 2위 규모
  • 리먼 쇼크를 겪고도 상장폐지하지 않고 10년 넘게 운용 중
  • 수수료는 0.91%로 3배수인 SPXL 보다 0.06%, UPRO 보다 0.02% 저렴함
  • 평균거래량 682만 건
  • 위에 언급한 국장 에센피500 2배 레버리지 ETF의 경우 하루 거래량이 2만건이 채 되지 않아 매수 및 매도 시 시간이 지연될 수 있음. 빠른 매매 속도를 원한다면 미국 직투하는 것을 추천

우량한 500개 기업이 모인 S&P500의 편입 조건 특성 상, 견고한 방어력이 2배수에도 이어져 나스닥 1배인 QQQ와도 하략률에 큰 차이가 없다.

 

4. FNGO, MicroSectors FANG+ Index 2X Leveraged ETN

영웅문 등 국내 MTS 매수 상위에서 자주 등장하는 3배 레버리지는 FNGU입니다. 국내투자자들 사이에서는 "핑구" 라는 별명을 가진 ETF인데요.  미국 CNBC의 짐크레이머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유명한 FAANG과 테슬라, 엔비디아 등을 포함해 10개의 종목들로만 구성된 FANG+ Index를 추종합니다. FNGO는 FNGU의 2배 버전입니다. (1배는 FNGS) QLD, SSO의 경우 1배와 3배 보다는 적지만 일일 거래량이 수백만 건에 달하는 것과 달리 FNGO는 FNGU 대비 거래량이 매우 적습니다.

  • 6만 건이라는 낮은 거래량으로 인해 매매 시 불편함
  • FNGU와 마찬가지로 알리바바와 바이두로 인해 중국주식이라는 차이나리스크가 존재함
  • 지수 리밸런싱 주기가 일정하지 않아 아픈손가락 역할을 하는 주식이 수익률을 계속 갉아먹음
  • 수수료는 FNGU와 동일한 0.95%
  • 국내에는 KODEX 미국나스닥팡플러스라는 1배수 ETF가 존재함

FNGS, FNGO, FNGU의 구성종목

 

5. GUSH, Oil & Gas Exp. & Prod. Bull and Bear 2X ETFs

GUSH는 원유와 천연가스 탐사 및 생산하는 기업들이 모인 지수인 S&P Oil & Gas Explor And Prod Select Index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3배수 상품 중에 유사 ETF로는 너구리라는 별명을 가진 NRGU가 있습니다만 NRGU는 시가총액이 가장 큰 10개의 기업으로 구성된 반면 GUSH는 60개의 기업이 동일가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유가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시총이 큰 10개 기업으로 구성된 NRGU나 60개로 구성된 GUSH나 퍼포먼스는 유사합니다. NRGU의 무지막지한 변동성은 두렵지만 원자재를 2배로 노려보고 싶은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ETF입니다.

  • 똑같이 2배 원유 및 가스 탐사 및 생산 ETF로 DIG가 있으나 GUSH의 거래량이 10배 더 많음
  • 평균거래량이 173만 건으로 17만 건인 NRGU보다 약 10배 가량 더 많음
  • 유가에 주가가 종속되어 있기 때문에 펀더멘탈에 의한 투자가 힘듦
  • 1배수 에너지 ETF인 XLE는 코로나 전고점을 회복했지만 GUSH와 NRGU는 여전히 회복하지 못함 (레버리지 투자의 위험성)

60개의 원유 및 천연가스 생산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음 (이미지는 1배수인 XOP)

 

6. USD, ProShares Ultra Semiconductors

국내에서 TQQQ와 비슷한 수준의 매수세를 보여주는 레버리지 ETF는 SOXL입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상품인데요. USD는 Dow Jones U.S. Semiconductors Index 지수를 2배로 추종합니다. 즉 GUSH와 NRGU가 추종하는 지수는 다르지만 포함된 종목이 비슷비슷하기에 거의 동일한 주가 흐름을 보이듯이 USD와 SOXL 역시 추종하는 지수는 달라도 포함된 종목이 비슷하기에 SOXL이 오를 때 오르고 SOXL이 내릴 때 내리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3배의 변동성은 부담되지만 반도체 관련 기업들만 레버리지로 보유하고 싶은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ETF입니다.

  • 평균거래량 29만 건
  • 비중 1위 기업인 엔비디아가 22% 비중을 차지함
  • 해외 및 국내에 상장된 레버리지 ETF 중에 유일한 2배수 반도체 ETF라는 점이 특징
  • 2배수 상품이지만 SOXL 보다 수수료가 0.05% 더 높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