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벌써 올해 2분기 빅테크 실적 발표가 끝났습니다. MAGA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미국 4대 기업 중 애플을 제외한 세 기업은 클라우드 업계에서 경쟁 중입니다. 하지만 클라우드 시장이 B2B 성격이 강해 체감하기 힘든 영역이지요. 저는 개별주로 애플을 포함해 마소, 구글을 보유하고 아마존은 ETF를 통해 일정 부분 포트폴리오에 담고 있기에 이번 실적 발표 때 클라우드 사업 부문의 성장률에 포커스를 뒀습니다. 클라우드 시장은 앞으로 계속 커질 것이며 세 개의 빅테크 기업을 포함해 서비스나우, 알리바바, SAP, 오라클 등 인지도가 높은 기업들이 포진했기 때문입니다. 이커머스의 아마존, 소프트웨어의 마소, 구글과 유튜브 및 광고 시장의 구글은 압도적인 포지션에 있기 때문에 "알아서 잘하겠지" 라는 마인드가 작동하는 반면 클라우드 업계는 매우 치열해서 해당 기업의 지분을 갖고있는 투자자가 꾸준히 업계 동향을 살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빅테크 3사 클라우드 매출 성장률, 매출

 

CNBC, 지디넷 기사 및 어닝 리포트를 통해 클라우드 대장 3사의 매출 성장률과 매출을 정리했습니다. 클라우드 업계 점유율 1위인 AWS가 37% YOY 대비 37%, 마소의 애저가 51%, GCP로 줄여서 부르는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이 54% 성장했습니다. 세 기업 모두 애널리스트 예상을 뛰어 넘는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아마존은 이커머스 및 프라임 등 B2C가 유명하지만 실질적으로 영업이익은 B2B인 AWS에서 절반 이상이 나오는데요. 클라우드 대장주인 아마존의 AWS가 3사 중에 가장 낮은 성장률을 보였지만 점유율이 애저와 GCP를 합친 것보다 더 큰만큼 드라마틱한 성장률은 나오기 힘들지만 애널리스트 예상 성장률을 상회했습니다. 매출액은 14.81 빌리언 달러, 즉 148.1억불으로 한화로 17조원 가량 벌어들었습니다. 이 역시 애널리스트 예상 매출 $14.2B를 뛰어넘는 실적입니다.

 

클라우드업계 콩라인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는 매출 성장률 51%로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인 43.1%를 크게 추월했습니다. 매출액을 보면 이번 분기 뿐 아니라 이전 분기 실적을 찾아보면 애저의 매출이 AWS의 것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는데요. 로이터발 기사 및 여러 외신 보도를 읽어보면 저 $17.4B의 매출은 애저 단독 매출이 아니라 "Intelligent Cloud" 부문의 매출로 소개를 하고 있습니다. 이 인텔리전트 클라우드에는 애저 뿐 아니라 SQL, 비주얼스튜디오를 비롯해 깃허브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마이크로스프트가 애저의 단독 매출 공개를 하지 않기 때문에 언론에서도 확실하지 않게 애저의 매출을 추정해서 기사를 쓸 바에야 Intelligent Cloud의 매출을 애저 매출 대신 소개하는 듯한데요. 일반 투자자들이 클라우드 업계 현황 파악함에 있어서 아쉬운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클라우드 업계 3위인 구글은 클라우드는 빅테크 3사 중에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사실 글로벌 점유율로 보자면 중국의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업계 3위이고 구글은 4위입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에 편중되어 있는만큼 언론에서 업계 동향을 소개할 때 알리바바는 언급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어쨌든 구글은 매출 성장률에서 좋은 성과를 낸 만큼 당연히 적자폭도 크게 줄였습니다. (작년 대비 적자 59% 감소) 

반응형
반응형

마이크로소프트는 (MSFT) 애저라는 클라우드를 통해 미국 시가총액 2위에 올랐으며 현재는 애플에 이어 두 번째로 시가총액 2조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하지만 아마존의 AWS, 애저, 구글의 GCP 역시 폭발적인 성장기를 지나 점차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성장 동력들이 약해짐에 따라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가는 중인 마이크로소프트는 새로운 성장 동력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윈도우 11, 메타버스에 접목될 AR 디바이스인 홀로렌즈가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높은 매출 성장이 기대되는 건 게임 사업인 엑스박스입니다. 

 

XBOX GAME PASS

엑스박스 게임패스는 게임판 넷플릭스라는 별명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구독형 수익 구조는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히므로 게임패스가 계속 성장할수록, 게임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게 만드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술력이 발전할수록 빛을 볼 사업으로 꼽힙니다. 클라우드를 통한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진입장벽이 존재합니다. 첫째, 수많은 게이머들의 게임을 실행시킬 클라우드 서버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GCP를 보유한 구글이 스태디아를, AWS를 보유한 아마존의 루나가 등장했습니다. 둘째, 넷플릭스가 구독자 유치를 위해 수많은 작품에 돈을 들이는 것처럼 타사의 게임을 자사의 서비스로 입점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자금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MAGA에 속하는 MS, 구글, 아마존이 클라우드 게임 업계에 진출한 상태인데요 2021년 4월 기준으로 2300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마이크로소프트가 이 둘보다 몇 수 앞서가는 모습입니다.

 

 

아래 게임 렌트 기사를 참고하시면 게임패스의 구독자 증가 추세가 매우 빠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Xbox Game Pass Subscriber Count is Growing Fast

New figures show almost 25 percent of Xbox Game Pass subscribers joined the service in 2021, with it continuing to attract members en masse.

gamerant.com

 

스태디아를 소유한 구글은 내부 스튜디오를 폐쇄했습니다. 이것은 매우 치명적인 소식이죠. 디지털 유통 플랫폼에는 서로 중복되는 콘텐츠들이 있기 때문에 다른 경쟁사 대비 메리트를 확보하기 위해 오리지널 콘텐츠를 생산하는데요. 구글의 게임 스튜디오 폐쇄는 넷플릭스에서 자체제작 드라마, 영화를 중지하겠다는 것과 다를 바 없습니다. 또한 아마존 역시 반지의 제왕 ip 기반 MMO 게임의 제작을 중단했습니다. MS와 마찬가지로 빅테크 기업이자 강력한 경쟁자 둘이 초반부터 밀려나가는 것으로 MS가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 경쟁 구도에서 앞서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tephen Totilo on Twitter

“Google shuts down its internal Stadia game studios. Stadia service continues and will still see more third-party games, but focus is now on partnering with other companies. Jade Raymond out. https://t.co/DcQKG7VFGm”

mobile.twitter.com

 

 

 

엑스박스의 내부 스튜디오는 현재 제니맥스 인수로 인해 23개까지 늘어났습니다. (폴아웃, 엘더스크롤 개발사, 현재 스타필드 제작 중) 또한 아소보 스튜디오와 같은 협업 관계에 있는 제작사까지 있습니다.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개발사) 엑스박스는 23개의 스튜디오에서 순환적으로 게임이 발매되며 발매 당일 게임패스로 즐길 수 있게 준비 중입니다. MS의 플랜에 맞춰 지속적인 AAA 타이틀 추가된다면 게임패스 가입자 증가 추이도 늘며 기존 게임패스 가입자들의 구독 연장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의 사티아 나델라 CEO 또한 마이크로소프트는 게임에 올인한다는 트윗을 작성했습니다. (아래 트윗 참고) 세계 최고 기업의 CEO가 전폭적인 후원을 약속한 것으로 앞으로 추가적인 스튜디오 인수, 킬러 타이틀에 대한 제작 자금 지원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Satya Nadella on Twitter

“Microsoft is all-in on games. In our 20th year of Xbox, I’m in awe of what creators around the world are bringing to our platform. https://t.co/m3oRFVDGS8”

twitter.com

 

마이크로소프트는 다른 기업이 따라할 수 없는 압도적인 경제적 해자를 갖고 있으며 존슨앤드존슨과 함께 AAA 신용등급을 유지하고 있는 유이한 기업입니다. 개별주를 투자함에 있어서 MSFT보다 안정적인 승차감을 주는 종목이 있을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기업의 성장 동력을 믿고 시간을 들여서 꾸준히 적립식으로 매수하는 것이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투자법인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미국 대표 기술주를 표현하는 단어 중에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는 FAANG 입니다. 이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지 약 3년이 넘은 것으로 확인되는데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등 이 초거대 기업들은 압도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엄청난 매출을 내며 이는 곧 주가 성장률로 이어집니다. 어차피 대형주만 크게 성장하는 거라면 소수 종목만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서 출발한 지수가 FANG+ 인덱스입니다.

 

물론 이때는 테슬라가 아직 빅테크 기업으로 성장하지 않았고 몇몇 기업들은 아직까지도 빅테크로 불리는 기업들에 못 미치고 있지만요. 어쨌든 요지는 해당 기업의 주력 분야에서 1~2위를 다투는 기업들이라는 것이죠. 미국에서는 몬트리올 은행이 발행하는 ETN인 FNGS (FNGO, FNGU) 가 있으며 국내에는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KODEX 미국 FANG플러스 ETF가 있습니다.

 

하지만 팡플러스를 구성하는 ETF의 단점이라고 한다면 중국 주식이 2개가 포함되어 있어 정치적 리스크를 안고 있는 데다가 "FANG+" 에서 "FAANG" 속하는 기업들은 압도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을 장악하고 있지만 (넷플릭스 제외) "PLUS"에 속하는 기업들은 주력 분야에서 그 어떤 후발주자도 따라잡지 못할 압도적인 경제적 해자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냐는 것에는 확신을 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넷플릭스만 하더라도 아마존 비디오 프라임, 훌루, 디즈니와 치열한 점유율 경쟁을 벌이고 있고 테슬라는 완성차 업체들의 반격, 엔비디아는 AMD와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즉 이게 무슨 말이냐면 팡플러스는 묻지마 장투와는 그다지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 기업이 잘하고있는지? 다른 기업들이 추격하지 못할 기술력의 갭을 이어가고 있는지? 투자자들은 꾸준히 시장 동향을 살펴야 하다는 것이죠

 

이러한 기존 FANG+ ETF의 단점을 해소하면서 똑같이 10개의 소수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성 종목도 많이 겹치는 미래에셋의 ETF TIGER 미국테크 TOP10이 팡플러스 단점들을 보완한 대체 상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공통점도 있고 차이점도 있는 두 ETF의 특성과 장단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

 

ETF 명칭 TIGER 미국테크 TOP10 KODEX 미국 FANG플러스
총보수 0.49% 0.45%
환헤지 여부 미실시 실시
위험등급 2등급 2등급

 

구성 종목

QQQ와 같은 지수추종 ETF와의 차이점이자 두 ETF의 공통점입니다. 딱 10개의 기업에만 집중 투자를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으며 차이점으로는 구성 종목이 다르다는 점과 구성 종목의 비중을 두는 기준입니다.

 

미국테크 탑텐

  1. 시가총액 비중으로 추종하되 한 종목의 최대 비중치를 20%까지 설정
  2. 시가총액 비중으로 추종하되 기술주만 취급
  3. 나스닥에 상장된 주식으로만 구성
  4. 본사가 미국에 있는 기업으로만 구성
  5. 분기마다 리밸런싱 진행

미국 팡플러스

  1. 각 10개의 종목의 비중을 시총 규모와 별개로 10%씩 동일 비중으로 구성
  2. 미국과 중국 기업으로만 구성
  3. 나스닥과 뉴욕거래소에 상장된 테크놀로지 기업으로 구성
  4. 인덱스 리밸런싱이 없음

 

KODEX 팡플러스의 경우 종목 변화가 없고 10%씩 균등하게 보유하고 있지만 TIGER 미국테크 탑텐의 경우 분기별 리밸런싱에 따른 구성 종목과 비중치에 변화에 따라 아래 이미지와 상이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성 종목과 비중의 차이로 인해 갖게 되는 요소

 

미국테크 탑텐

  1. 애플과 마소의 비중이 커서 이 두 종목이 부진할 경우 하위 비중 종목의 상승률이 높아도 주가 변동에 큰 변화가 없음
  2. 미중무역분쟁, 미중패권전쟁 등 정치적 리스크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움
  3. 리밸런싱을 통해 지지부진한 종목은 덜고 갈 수 있음

미국팡플러스

  1. 분산투자 관점에서 볼 때 10개의 종목에 똑같은 비중으로 투자하는 팡플러스가 부합함
  2. 정치적리스크로 인해서 기업의 실적, 미래 전망과 무관하게 주가가 요동칠 수 있음
  3. 종목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경쟁 기업에게 시장 주도권을 넘겨주게 될 경우 주가하락이 클 수 있음

 

수익률 비교

(대략적인 비교를 위해 종목 변화와 리밸런싱이 없다는 가정하에 비교하였습니다.) 미국테크의 시총 갭과 종목 변화가 없다는 가정하에 백테스트를 돌려본 결과, 미국테크 탑텐과 팡플러스 두 ETF 모두 나스닥100을 추종하는 QQQ보다 우월한 퍼포먼스를 보여줍니다. 

 

두 개의 ETF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점들을 비교해봤습니다. 구성종목과 비중의 차이로 인해 완전히 똑같은 그래프를 그려가며 우상향을 하지는 않지만 빅테크에 대한 믿음으로 집중투자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포인트가 있는데요. 각각의 ETF에 대한 정보는 아래 포스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미국 나스닥 빅테크 ETF, TIGER 미국테크 TOP10

미국을 대표하는 기술주들이 대거 포진하고 있는 나스닥 (Nasdaq),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는 기업들이 많기에 나스닥에 상장된 종목들을 시가총액 순으로 100위까지 추종하는 QQQ와 국내에는 미래에

adblo.tistory.com

 

미국 기술주 집중 투자하는 ETF 코덱스 미국 FANG플러스

미국 기술주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ETF는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인베스코 자산운용사의 QQQ가 있고 한국에도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코덱스 타이거 미국나스닥100이 있습니다. 나스닥100 지수는

adblo.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미국을 대표하는 기술주들이 대거 포진하고 있는 나스닥 (Nasdaq),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는 기업들이 많기에 나스닥에 상장된 종목들을 시가총액 순으로 100위까지 추종하는 QQQ와 국내에는 미래에셋, 삼성자산운용 등에서 운용하는 미국나스닥100 등에 자본이 몰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지수에 포함된 기업들을 잘 살펴보면 시가총액만 크다면 그 시총대로 추종하기 때문에 과거의 유산으로 시가총액을 유지하는 기업, 성장 동력이 낮은 기업들의 비중이 상당수 존재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한편 지난 과거의 데이터를 보면 "오르는 놈만 오른다." 이야기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시가총액이 한화로 1천조가 넘는 이 거대한 빅테크 기업이 폭발적으로 크겠어? 싶지만 현재까지 빅테크 기업들은 매년 시장 평균 성장률을 초과하는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어차피 빅테크가 수익률로 시장을 이기는 데다가 빅테크의 압도적인 기술력을 보아하니 후발주자에게 추격당할 것 같지도 않는데, 차라리 빅테크 기업들만 압축해서 투자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보신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이러한 투자자들의 니즈를 충족시켜 줄 미래에셋 ETF, TIGER 미국테크 TOP10이 있습니다.

 

일단 나스닥의 대장주들을 묶는 키워드 MAGA, FAANG (Fang) 를 모두 담고 있으며, 현재 블로그 포스팅을 하는 시점에서 탑텐에 포함되는 10개의 기업들의 시가총액 합은 나스닥 100 지수에서 약 36% 에 달합니다. 즉 이 ETF에 투자하는 건 분산투자와는 거리가 멉니다. 과거의 데이터가 그랬듯이 이 10개의 기업들이 더 높은 주가 상승률을 보여줄테지만 지수 전체가 하락할 때 헷지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그렇기에 이 ETF의 특징과 나스닥100 ETF를 대체하는 관점에서 나스닥100과의 비교를 다뤄보겠습니다.

 

ETF 명칭 TIGER 미국테크TOP10 INDXX
환헤지 여부 환헤지 미실시
총 보수율 0.49%
기초 지수 INDXX US TECH TOP10 INDEX

 

종목 구성 특징

 

1. 업계 1, 2위를 다루는 빅테크 기업들이 포진

애플은 아이폰을 비롯한 하드웨어 및 자체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보유했으며 윈도우 OS로 인해 필수소비재 성격까지 갖춘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업계 1위 및 유통 제국 아마존, 구글, 유튜브 등을 보유한 알파벳 (구글)을 비롯하여 페이스북, 테슬라, 엔비디아, 페이팔, 인텔, 넷플릭스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기업들은 활약하고 있는 주력 분야에서 1위 또는 2위를 하고 있는 기업들입니다.

 

2. 한 개 종목의 비중은 최대 20% 까지만 

비중은 매 리밸런싱 시기마다 달라진다고 하지만 현재 기준으로 애플과 마소의 비중은 20%로 동일합니다. 실제로는 저 두 기업의 비중은 20%가 넘지만 최대 비중을 20%로 설정했는데요. 안그래도 적은 종목수에 특정 기업의 비중이 너무 비대해져 ETF의 기능을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추측됩니다. 최대 비중의 한도를 두어 종목 분산에 신경쓴 것이 눈에 띕니다.

 

3. 기술 관련 종목에 투자

ETF 이름에서도 나와있지만 이 ETF는 '미국' 에 상장된 '기술' 과 관련된 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나스닥 시총 순위 보니까 시총 10위인 ASML 없던데?", "미국기업만 따로 봐도 컴캐스트가 넷플릭스 보다 위인데?" 라고 의문을 가질 수도 있는데요. 반도체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EUV 노광기 업체인 ASML은 네덜란드 기업이기에 나스닥에는 ADR, 즉 주식예탁증서로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미국' 기업이 아닙니다. 컴캐스트는 통신사업, 콘텐츠 사업으로 인해 테크 기업의 성격도 일부 갖고 있으나 보통은 기술주라기 보다는 통신 서비스 섹터 쪽으로 분류됩니다. 그렇기에 플랫폼 기업이며 알고리즘 분야에서 강력한 넷플릭스가 마지막 자리를 차지했다고 보여집니다. 추후 리밸런싱을 통해 새로운 기업이 편입될 수 있겠지만 단순히 시가총액이 높다고 하여 필수소비재인 펩시가 이 ETF에 편입되진 않을 거라는 얘기죠. 기술주에 집중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들에게는 취향 저격이라고 생각됩니다.

 

성장률은??

index 닷컴에서 기초지수 INDXX Tech Top 10을 2016년부터 조회할 수 있습니다. 벤치마크는 S&P500 지수입니다. 

 

아래 그래프는 2021년 1분기 리밸런싱 현황을 기준으로 포트폴리오 백테스트를 돌린 결과입니다. 10개 중 하위 2~4개 종목이 뒤바뀌는 만큼 위 인덱스 닷컴만큼 정확하진 않지만 더 과거 데이터를 대략적으로 가늠할 수 있습니다.

파란색 미국테크 탑텐, 빨간색 QQQ, 주황색 SPY

 

미국테크 탑텐과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QQQ,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SPY의 수익률 비교를 해보니 역시 가는 놈만 간다는 주식판 속설이 맞는 것 같네요. 나스닥100과 비교해서 볼 때 하위종목들이 대장주들의 성잘률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끝으로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미국에 투자를 함에 있어서 MAGA, FANG, GAFA 로 불리는 빅테크 기업에 투자를 하는 건 필수라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해당 기업들을 담고있는 ETF를 포함하여 개별종목도 보유하고 있지만 위 기업들의 주당 가격이 높다는 단점이 있는데요. 미래에셋의 미국테크 탑텐을 통해 적은 금액으로 미국 빅테크 기업에 효과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연금저축계좌를 통해 꾸준히 투자를 해보려 합니다. 가는 놈만 가기에 미국 빅테크 기업만 집중투자하고 싶다는 생각을 갖고 계신 분들이라면 마음에 들 수 밖에 없는 구성이라고 판단됩니다.

 

 

ETF비교, 미국테크 TOP10 vs 미국 FANG플러스

미국 대표 기술주를 표현하는 단어 중에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는 FAANG 입니다. 이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지 약 3년이 넘은 것으로 확인되는데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페이스

adblo.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